본문 바로가기

자산관리3

금리와 주가의 상관 관계 / 유동성과 실적, 추천 포트폴리오 최근 미국의 10년물 국채 금리가 올라가면서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로 주가가 상당한 조정을 받고 있습니다. 지난 포스팅에서는 금리 상승으로 인플레이션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어떠한 자산에 투자하는 것이 좋을지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비슷한 맥락으로 금리와 주가의 상관 관계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통상 금리가 올라가면 경제가 좋아진다는 이야기로 받아들입니다. 앞으로 경제가 좋아져서 금리가 계속 올라간다면 주가는 하염없이 떨어지기만 할까요? 하지만 금리와 주가의 관계는 그리 간단하지 않습니다. 유동성과 실적 - 금융 장세와 실적 장세 흔히 금융시장을 비행기로 비유합니다. 이 비행기에 달린 두 개의 엔진을 '유동성'과 '실적'이라고 하겠습니다. 금리와 주가의 상관관계는 유동성과 기업의 실적으로 이.. 2021. 3. 12.
높아지는 인플레이션 가능성, 어떤 자산에 투자할까? / 인플레이션과 투자 최근 금융시장에서는 미국 장기국채 금리 상승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우려로 변동성이 굉장히 커지고 있습니다. 인플레이션 가능성이 높아지는 시기에 어떤 자산에 투자해야 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인플레이션이란? 인플레이션이란 일시적인 물가 상승이 아니라 물가 수준이 지속적으로 올라가는 것을 말합니다. 최근 몇년간 우리나라 부동산 시장을 뜨겁게 달구었던 아파트 값의 상승이 인플레이션의 예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옆 B단지의 아파트 값이 상승합니다. B 아파트 값이 올라간 신호로 내가 사는 A 아파트 값도 올라갑니다. 처음에는 주변 단지에서만 가격 상승이 이루어지던 것이 점점 옆동네로 퍼져 갑니다. 이것이 바로 인플레이션의 예입니다. 경제학에서는 인플레이션을 두 가지로 나눕니다. 수요견인(Demand-Pull) 인플레.. 2021. 3. 10.
자산배분과 리밸런싱 / 리밸런싱 해야 하는 이유? / 리밸런싱 방법 자산배분(Asset Allocation)이란? 자산의 종류에는 주식, 채권, 원자재, 통화, 선물, 부동산 등등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자산배분(Asset Allocation)이란 이처럼 여러 자산에 나의 소중한 돈을 적절히 나누어 투자하는 것업니다. 적절한 자산배분은 각 자산의 등락 속에서 나의 포트폴리오를 안정적으로 지켜줄 수 있습니다. 자산배분에 정해진 법칙이란 없지만 보통 상관관계가 낮은 자산에 나눠서 투자를 합니다. 긴 시계열 속에서 A라는 자산 가격이 상승할 때 B라는 자산 가격은 하락한다면 이때 이 둘의 상관관계는 '마이너스(-)'이고 상관관계가 낮다고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위험자산인 주식과 상대적으로 안전자산인 채권처럼 둘의 상관관계가 마이너스라고 알려진 두 자산에 나누어 투자를 .. 2020. 12. 18.